* 사고를 대비한 데이터 백업
1. 기본 기능을 활용한 백업
역할 및 기능 추가에서 windows server backup을 추가해줌
그냥 로컬 백업을 찾아서 들어가도 되고
실행 -> wbadmin.msc 실행해도 됨
(온라인 백업은 microsoft azure backup인데 유료이다.)
로컬백업 선택하여 한 번 백업 등 작업 선택
전체 또는 따로 백업이 가능함.
C를 백업한다면 백업 대상에는 백업파일을 저장할 곳인 D 드라이브를 넣어줌
백업이 완료되면 해당 위치로 가면 백업 파일들이 보인다.
2. 복구방법
우측에 복구를 눌러준다.
날짜를 선택해주고 대상을 선택
파일 -> 백업한 드라이브 안에 일부 파일만 복구함
볼륨 -> 백업한 드라이브 전체를 복구함
백업할 위치를 선택해주고 조건을 선택함
3. 전체와 증분 백업
전체백업 장단점 - 시간 오래걸림/백업 후 시스템 성능에 영향 없음
증분백업 장단점 - 시간 짧게걸림/백업 후 시스템에 성능에 영향 미침
4. 증분 백업 하기
우측 성능 설정구성에 들어간다
빠른 백업 성능 선택 - 디스크가 많이 사용하지 않을때 추천
증분 백업도 첫 1회는 전체 백업이다.
이 상태에서 한 번 백업 -> 백업 구성 선택에서 사용자 지정 선택하여
항목 추가할 때 완전복구 체크로 4개 추가하여 D드라이브에 저장한다.
(걍 c드라이브만 저장해도 상관없음)
2차 증분백업을 해보자
바탕화면에 데이터를 변경한다. 다시 한 번 백업.
사용자 지정 -> 완전 복구 4개 체크 -> D드라이브 저장
로컬 백업에서 자세히 보기를 보면 증분으로 되어있는걸 확인 가능함.
5. 일정 예약
우측에서 백업일정 -> 시간 지정
로컬에 저장할 경우
1. 백업 전용 hdd 저장(백업 전용으로 사용할 경우)
2. 볼륨에 백업(다른 것과 함께 저장할 경우)
외부에 저장할 경우
3. 공유 네트워크 폴더에 저장
저장할 디스크 선택 후 백업 해주면 됨
6. 부팅 안되는 경우 백업 데이터로 복구하기
1 가상 pc에서 남는 디스크 1개에 windows 백업 기능으로 백업을 해본다.
2 그 백업한 디스크를 빼서 vmdk 파일을 해당 가상 pc에 꽂는다
3 윈도우즈 서버를 cd/dvd에 넣어서 iso로 부팅시킨다
4 좌측 아래 repair your computer -> 트러블 슈팅 -> 이미지 리커버리 들어감
5 백업 내용을 찾아서 os 전체를 복구 시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