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10

SERVER 2019. 12. 7. 20:31

* 웹하드 만들기

인터넷에 파일을 저장하고 보관하는 것을 말함.

웹하드라고 하는 인터넷 서비스이다. pydio를 사용해보자.

 

웹 서버에 사용자별로 폴더를 만들고 거기에 저장해둔다.

이것을 접근하려면 웹 브라우저를 통해 다운로드, 업로드 가능함.

 

* 구축 방법

pydio를 다운로드 하자.

다운받은 것의 이름을 바꾸고 웹서버 아래 넣어둔다.

옮긴 웹하드 폴더에 사용 권한을 준다.

windows 아래 temp 폴더에 IUSR의 권한을 준다.

 

윈도우즈용 자바를 설치한다. java.com/ko

http://ip/webhard 방금 이동시킨 웹하드에 접속하여 진행함.

 

웹하드에 접속이 됐다면 관리자로 로그인 후에

설정 -> workspaces&users에서 people 클릭

새사용자에서 만들 수 있다.

 

* 업로드 및 다운로드

기본 화면에서 myfiles에서 업로드를 해보자

(대용량 업로드가 안된다면 PHP와 IIS에서 대용량 업로드 설정을 해야함)

다운로드도 가능함.

 

 

* 클라우드 저장소 만들기

클라우드 서비스는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N드라이브, 마이크로소프트 원드라이브가 있음

 

웹하드와 차이점은?

웹하드는 웹 브라우저로 파일을 다운로드 해야하고 파일 변경 후에 업로드해야함.

클라우드 서비스는 웹 브라우저없이 자신의 하드디스크에 바로 접근함.

클라우드 서비스는 서버 설정 +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설치 + PC 부팅 시 자동 작동도 되야함.

 

* 구축 방법

owncloud를 사용해보자

사이트에서 서버를 다운로드 받음

압축 푼 owncloud 서버를 웹서버 아래 넣어둔다.

IIS에서 클라우드 폴더 선택 후에 처리기 매핑 선택

(선택 이유는 owncloud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충돌부분 방지)

 

php54 선택 후에 요청제한 -> 동사에서 모든 동사 선택

-> 실행파일(옵션)의 경로를 큰 따옴표로 묶어줌

 

http://ip/owncloud 접속하려하면 php 5.6이상 상위버전을 설치

더이상 윈도우즈를 지원하지 않는다고함.

테스트 불가..

 

공유주소를 받아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어차피 웹에서 접속해서 업로드 다운로드하는건 웹 하드와 비슷하다.

하지만 클라우드는 클라이언트를 이용해서 브라우저 없어도 된다.

 

클라이언트에 서버 주소\owncloud 경로, 아이디, 패스워드 넣고 

그 후에 서버에서 동기화될 저장소 폴더 선택.

외부 PC에서 클라이언트 이용해서 해당 폴더에 접근할 수 있다

기능은 FTP를 폴더로 열어서 사용하는거나 같은 것이다..

 

* FTP / 웹하드 / 클라이언트의 구분을 할 수 있어야한다.

 

FTP는 ftp://ip 명령어를 통해 웹/폴더를 통해 공유하는것이다.(실시간o)

웹에서는 다운로드만 가능, 폴더에선 다운로드, 업로드 가능

 

웹하드는 웹을 통해 업로드/다운로드를 하는 것이다.(실시간x)

 

클라우드는 웹 서버를 통해서 접근 시에 웹하드와 동일한 성격(실시간x)

클라이언트를 통해 접근 시에 FTP와 동일한 성격.(실시간o)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12  (0) 2019.12.07
서버 #11  (0) 2019.12.07
서버 #9  (0) 2019.12.07
서버 #8  (0) 2019.12.07
서버 #7  (0) 2019.12.07
블로그 이미지

ryancha9

https://blog.naver.com/7246ls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