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11

SERVER 2019. 12. 7. 20:31

* DNS 서버

DNS 서버는 네임서버라고도 함.

 

* DNS 서버의 역할은 무엇? 

일반적으로 서버에 접근하려면 192.168.0.1같은 ip주소가 있어야하는데

url 주소로 접근하려할 때 url을 ip 주소로 변환시켜주는 일은 한다.

그냥 아이피 주소로 접근할꺼면 필요없음

 

* url -> ip주소로 바꿔주는건 어디?

전화번호부마냥 하나씩 입력할 때는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여기에 hosts 파일로 존재함.

아이피 주소 url주소 이렇게 입력하면 알아서 바꿔줌.

 

* DNS 서버와 통신 순서

먼저 pc에서 dns 서버에 url을 물어보면 dns 서버는 ip주소를 알려주고

그 ip주소로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실제 서버로 접속함.

 

* 현재 pc가 사용하는 dns 서버의 ip를 알아보기

명령창에서 nslookup 입력 또는 url 주소 쳐보기

 

* dns 주소를 잘못 입력 시에 인터넷 접속안됨.

이유는 dns 서버가 url주소를 ip주소로 바꿔주지 못했기 때문에

아이피주소로 접근하면 잘 될 것이다.
 

* dns 서버와 hosts 파일 중에 어느 것이 먼저?

hosts 파일이 먼저다. 없으면 dns 서버에 요청한다.

 

* DNS 서버 구조

root dns 서버는 1단계 서버인 com dns서버, net dns서버, org dns서버 등 관리

1단계 서버는 2단계 서버만 관리. com dns 서버는 nate, google, naver 등 2단계 도메인만 관리함.

 

naver의 도메인 이름은 naver.com이다.

naver 아래에 www.naver.com이나 mail.naver.com은 naver.com 도메인에 속한 서버 컴퓨터다.

 

* 로컬 dns 서버 작동 순서

로컬 dns 서버는 자신에게 도메인 이름에 대한 질의가 들어오면 자신이 알고 있으면

바로 ip를 알려주지만 모를 경우에는 아래처럼 작업함.

 

1. pc가 웹브라우저에 www.naver.com을 입력함.

2. 로컬 dns서버에 ip 주소 확인했지만 없음

3. 로컬 dns서버는 root dns서버에 url주소를 주면서 ip주소를 물어봤지만 모름

4. com 주소를 총괄하는 com dns서버에게 물어보라고함.

5. com dns서버도 모르므로 naver.com을 관리하는 dns 서버 주소를 알려줌

6. naver.com dns 서버에게 www.naver.com 주소를 물어봄

7. naver.com dns서버는 ooo.naver.com이란 이름의 컴퓨터 목록은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ip주소를 알려줌

8. 로컬 dns 서버는 www.naver.com의 ip주소를 요구한 pc에게 알려줌

 

쉽게보면 찾는 순서는

로컬 dns -> root dns 서버 -> com dns 서버 -> naver.com dns 서버

 

* 캐싱 전용 dns 서버

url로 ip주소를 얻으려고할 때 알려주는 dns 서버이다. 로컬 dns 서버가 그 역할을 수행함.

 

서버 역할에서 dns 서버를 추가하자.

방화벽에 앱 또는 기능 허용에서 DNS 서비스를 개인, 공유를 체크하자.

서비스에서 dns server가 실행 중 자동을 확인하자.

 

dns 서버가 설치된 pc의 ip주소를 다른 pc의 dns 서버 주소에 넣어보자

인터넷 접속이 잘되는가? 이제 로컬 dns 서버를 통해 url로 ip주소를 획득하고 있다.

 

* 웹 서버 및 ftp 서버 접속해보기

dns 서버에서 정방향조회영역 - 새영역 - 주 영역 - 영역이름에 도메인.com

영역파일에 도메인.com.dns 추가하면 

도메인.COM DNS 서버가 만들어진 것이다.

도메인.com에서 새호스트로 www와 ftp를 만들어보자.

 

웹서버 http://www.도메인.com

ftp서버 ftp://ftp.도메인.com

접속이 잘 되는지 테스트 해보자

 

외부에서 할 땐 도메인을 구매해야하지만 내부에서 할꺼면 테스트할 때 상관없음

 

 

* 라운드 로빈 방식 dns 서버

사용자가 많을 경우는 1대가 아니라 여러대의 웹 서버를 통해 교대로 서비스 실행함.

이러면 웹 서버의 부하를 나눌 수 있다. 이게 라운드 로빈 반식이다.

www.도메인.com 웹 서버 3대 운영 시에 아이피를 각각 다른 3개를 만들자.

 

nslookup에서 검색 시에 addresses에 주소가 여러 개 인것은 라운드 로빈 방식이다.

dns 서버에 www를 다른 ip 주소로 추가해주면 된다.

동일한 웹 서버를 구축한 ip를 써야한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13  (0) 2019.12.07
서버 #12  (0) 2019.12.07
서버 #10  (0) 2019.12.07
서버 #9  (0) 2019.12.07
서버 #8  (0) 2019.12.07
블로그 이미지

ryancha9

https://blog.naver.com/7246lsy

,